
[파이낸셜뉴스] 귀농 후 농촌에 정착한 60대 A씨는 앞으로 얼마나 더 농사를 지을 수 있을지 고민이 많다. 보유 중인 농지를 팔면 토토 사이트세가 많이 나올까 걱정이고, 둘째 아들이 청년 농업 지원에 관심을 갖고 있어 아예 물려주는 방법도 생각 중이다. 둘 중 절세 측면에서 유리한 방안을 알고 싶어 세무 상담을 신청했다.
|
11일 BDO성현회계법인에 따르면 A씨가 농지를 팔 경우 100% 세액 감면을 받기 위해서는 몇 가지 조건이 따른다.
먼저 농지를 직접 경작한 기간이 8년 이상이어야 한다.
농지 소재지에 거주해야 하는 재촌 요건도 있다. 농지 지역과 인접한 지역이나 농지로부터 직선거리 30㎞ 이내 지역에 거주하고 있어도 가능하다.
문제는 A씨의 경우 직접 경작한 기간이 아직 8년이 지나지 않았다는 점이다.
성현회계법인은 3년 이상 직접 경작했을 때에도 예외적으로 동일한 세금 혜택을 주는 제도가 있다고 소개했다. 바로 '경영이양 직접지불보조금(농지이양 직접지불보조금)'을 신청하는 경우다. A씨가 이 제도를 통해 한국농어촌공사 등에 농지를 토토 사이트할 경우 매매 대금 외에도 최대 10년간 매월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 A씨는 농지를 팔게 될 경우 65세부터 84세까지 신청이 가능한 이 제도를 활용하기로 했다.
다음으로는 A씨가 농지를 아들에게 물려주는 경우다. A씨가 3년 이상 계속해서 농사를 지어온 자경 농업인이라면, 18세 이상 자녀에게 농지를 물려줄 때 5년간 최대 1억원의 증여세 감면을 받을 수 있다.
이때 물려줄 토지를 실제 경작해왔는지가 핵심이다. 토지 지목이 전답이더라도, 실제 영농에 사용했어야만 농지로 본다. 만일 지목이 전답이 아닌 임야더라도, 과수원을 조성해 과일을 생산했다면 농지로 본다.
또 자녀 역시 증여세 신고 기한까지 농지 등 소재지나 인접한 지역에 거주해야 하고, 직접 영농에 종사해야 세금을 감면받을 수 있다.
성현회계법인 세무 전문가는 "자녀가 농지를 물려받은 뒤 5년 내 농지를 처분하거나 경작을 하지 않을 경우, 감면 세액에 연 8% 상당 이자까지 추징될 수 있어 계획을 잘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농지를 물려받으면서 세금을 감면 받을 경우 다른 증여재산과는 합산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통상 증여세는 10년 이내에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재산은 전부 합해 과세토록 하고 있는데, 증여받은 농지는 상속 시점까지 사전증여재산에서 제외된다.
반면 자녀가 물려받은 농지에서 5년간 농사를 지은 뒤 토토 사이트하는 경우에는 부모의 농지 취득시점과 취득가액으로 토토 사이트차익을 계산해야 한다. 물론 이때도 앞서 언급한 8년 자경 기간을 충족한 경우면 토토 사이트세 감면을 받을 수 있다.
성현회계법인은 농지를 물려줄 때 '영농상속공제' 활용도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영농후계자가 상속인일 경우 영농상속 재산가액에 대해 최대 30억원까지 공제받을 수 있는 제도다. 농업·수산 계열 학교를 재학 중이거나 졸업한 경우를 포함해, 후계농업경영인 등으로 선정된 경우 영농후계자에 해당한다. 자녀가 영농후계자가 아니더라도, 재촌 요건을 충족하면서 상속일 전까지 2년간 계속해서 영농에 직접 종사했다면 공제를 받을 수 있다.
성현회계법인 관계자는 "다만 상속 이후 5년간 공제받은 상속재산을 처분하거나 직접 영농에 종사하지 않는다면, 공제받은 상속세와 이자 상당액을 납부해야 하므로 원활한 농업 승계를 위한 철저한 준비가 필수"라고 조언했다.
BDO성현회계법인 전문가와의 상담 내용을 바탕으로 한 [세무 재테크 Q&A] 기사는 매월 둘째 주 연재됩니다.
nodelay@fnnews.com 박지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